본문 바로가기
WordPress.org with GCP/GCP

구글 클라우드 $300 무료 크레딧으로 워드프레스 만들어보기

by Sine 1982 2021. 5. 24.

워드 프레스를 이용해 블로그를 시작해 보고 싶어서 검색하다가 워드프레스를 다운로드해서 나중에 서버에 옮겨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없을까 하다가 구글 클라우드에서 시작할 수 있길래 사용해 보기로 했다. 거기다 90일간 $300 크레딧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워드프레스 세팅하는 동안 돈 낭비 없이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아 유용하다고 생각했다.

2021년 5월 사전 지식 없이 시작.

 

https://console.cloud.google.com/

 

Google Cloud Platform

하나의 계정으로 모든 Google 서비스를 Google Cloud Platform을 사용하려면 로그인하세요.

accounts.google.com

 

가입하는건 어렵지 않았는데 대시보드를 보는 순간 도통 뭐가 뭔지 알 수가 없었다.

검색을 해보았지만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이 많았다. 그래도 최대한 크레딧에 맞춰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 보기로 했다. (폭풍 검색)


검색을 해보니 VM인스턴스를 생성하는 방법들이 있었는데, 마켓플레이스에서 바로 워드프레스를 실행하면 안 되는 것인가? 유튜브에 찾아보니 VM인스턴스 새로 만들기 없이 바로 마켓플레이스에서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는 영상이 있었다. 그래서 더 찾아보니 VM인스턴스를 만들지 않고 마켓플레이스에서 바로 워드프레스를 실행하면 되었다. VM인스턴스는 만들고 지울 수 있어 하기전에 연습용으로 만들어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다.(나는 한 번 시험 삼아 만들어보고 삭제했다.) 결론은 마켓플레이스에서 바로 실행시키면 된다는 것!

 


그럼, 시작해보자.


 

1. 햄버거 버튼을 누르면 메뉴가 나오는데 "마켓플레이스"를 찾아 들어간다.

 

2. 많은 솔루션 중에 찾아야 하기 때문에 Filter by를 이용해 찾는다.

 

3. [가상머신]을 누르고, [블로그 및 CMS]를 누르면 결과 값이 좁혀져 워드프레스 목록들이 잘 보이게 된다.

(이 필터 기능 한눈에 쏙 보이는 UI가 맘에 든다.)

 

4. 165개 중에서 고른다. 여기부터 고민이 시작된다. 어떤 걸 골라야 하지? By 구글?, By 비트나미...? 많은 사람들이 비트나미로 시작하던데 이유는 무엇일까? 어떤 걸 써도 상관없다고 한다. 그래서 나는 구글을 사용하기로 했다. 그리고 그냥 워드프레스가 있고 워드프레스 멀티 사이트가 있다. 그래서 다시 검색을 해보았는데 워드프레스를 하나 이상 운영할 계획이라면 멀티 사이트를 쓰는 게 좋다고 한다. 그냥 워드프레스를 사용하다가 나중에 바꿀 수 있지만 손이 간다나? 아무튼 나는 하나 이상 생각을 하고 있어서 멀티 사이트로 하기로 했다.(당장은 하나만 오픈할 예정인데 괜찮다고 한다.) 가격도 달라지니까 주의!!

 

5. 실행을 누르면 상세 설정을 하게 되어있다. 오른쪽에 보이는 예상 금액을 확인하며 선택해보자.

 

- Zone: 리젼을 선택하는 것인데, 지금은 서울 리젼이 생긴 걸로 안다. 그 전에는 사람들이 도쿄 리젼을 쓴다고 했다. 나는 가까운 리젼이 어딘지 몰라서 구글에 검색해 보았다. 지역마다 가격차이가 있으니 체크해본다. 어떤 리뷰에서는 대상에 따라 리젼을 고르라고 하고 어떤 리뷰는 어디든 크게 상관이 없다고 한다. 서울 리젼을 할까 하다가 나랑 가까운 게 나을 것 같아 us-weat1로 했다.

https://cloud.google.com/about/locations

 

글로벌 위치 - 리전 및 영역  |  Google Cloud

Google Cloud는 전 세계 각지에 리전을 운영하여 전 세계적 도달 범위, 저렴한 비용, 짧은 지연 시간, 애플리케이션 가용성을 제공합니다.

cloud.google.com

 

- Machine type: 머신을 고르는 게 제일 힘들었다. 왜냐하면 아무것도 모르니까 ㅋㅋㅋ 그리고 리뷰 해둔 사이트들은 $300 크레딧 안에서 제한된 기간 안에 사용할 수 있게끔 만드는 걸 보여주는데, 나는 그것도 중요하지만 만들고 삭제할게 아니라 계속 사용할 것이기 때문에 무조건 낮은 사양을 하는 게 정답인지 가늠이 안되었다. 폭풍 검색을 하다가 어떤 분이 개인 블로그용으로 사용하는 거라면 CPU 1개, 4GB RAM, 10GB로 충분하다고 해서 N1-standard(CPU 1개, 3.75GB 메모리)로 선택했다. 안되면 나중에 옮기면 되지... 하는 마음으로 해보는 것이다!! 😂

 

- Administrator: 이메일 주소 기입한다.

 

- Boot Disk: Standard로 하려고 하다가 그래도 요즘은 SSD는 기본 아닌가 생각되어 SSD로 선택하고 10GB로 했다.

 

- HTTP, HTTPS 체크한다.

 

이제 실행하면 몇 분 후 완료가 된다.

완료되면 오른쪽에 보이는 Admin URL로 들어가서 user에 이메일 주소와 임시 비밀번호를 넣어주면 끝이 난다.

 


휴, 힘들었네.


 

이제 시작인가?! 😆

 

 


구글 클라우드는 내가 다 설정을 해야하기 때문에 결코 간단하지 않음을 알려드림. (스스로 삽질의 길로 들어왔다는 말)

국내에 있는 가비아나 카페24 같은 서버업체를 이용하는 것이 편할지도 모르겠다. 난 이왕 들어왔으니 열공하는 걸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