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HTML, CSS

CSS display, position

by Sine 1982 2021. 1. 20.

display: 요소를 블록과 인라인 요소 중 어느 쪽으로 처리할지와 함께, 플로우, 그리드, 플렉스처럼 자식 요소를 배치할 때 사용할 레이아웃을 설정합니다.

- display-outside values:

  • block: 인라인 요소를 블럭요소로 바꿔줄 때 사용한다. 

  • inline: 블럭 요소를 인라인으로 바꿔줄 때 사용한다.컨텐츠의 크기에 따라 사이즈가 달라지고 컨텐츠 자체만을 꾸며주는 역할을 한다. margin-top, margin-bottom을 쓸 수 없다. width, height를 쓸 수 없다.

  • run-in

  • display-inside values:

  • flow

  • flow-root

  • table

  • flex

  • grid

  • ruby

- display-listitem

 

- display-internal values:

  • table-row-group

  • table-header-group

  • table-footer-group

  • table-row

  • table-cell

  • table-column-group

  • table-column

  • table-caption

  • ruby-base

  • ruby-text

  • ruby-base-container

  • ruby-text-container

- display-box values:

  • contents

  • none: 셀렉터 값을 보이지 않게 한다. 영역 자제가 없어진다.

- display-legacy values:

  • inline-block: 높이값을 넣을 수 있다. 상자로 변환되어 컨텐츠의 사이즈에 관계없이 박스의 사이즈로 된다. margin, padding 가능, width, height 가능.

  • inline-table

  • inline-flex

  • inline-grid

 

● position: 문서 상에 요소를 배치하는 방법을 지정합니다. top, right, bottom, left 속성이 요소를 배치할 최종 위치를 결정합니다. 기본적으로 static으로 진열된다.

  • static: top, right, bottom, left, z-index 속성이 아무런 영향도 주지 않는다. 기본값이다.

  • relative: 현재의 자리에서 이동한다. 

  • absolute: 부모 박스를 중심으로 이동한다.

  • fixed: 윈도우를 중심으로 이동한다.

  • sticky: 스크롤링 되어도 그 자리에 머문다.

 

'STUDY > HTML, C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FreeCodeCamp: Button Style CSS3  (0) 2021.05.14
CSS Flexbox  (0) 2021.02.19
CSS Basic  (0) 2021.01.20
HTML Basic  (0) 2021.01.20

댓글